본문 바로가기

머니 이야기

LTPO TFT 아이폰 공부

반응형

 

 

https://www.etnews.com/20210323000087

 

삼성디스플레이, 오포·원플러스에 LTPO OLED 패널 공급

삼성디스플레이는 저전력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를 스마트폰 업체인 오포와 원플러스에 공급했다고 23일 밝혔다. 공급된 OLED는 어댑티브 프리퀀시(Adaptive Frequency)로 불리는 가변 주

www.etnews.com

이미지 썸네일 삭제

삼성디스플레이, 오포·원플러스에 LTPO OLED 패널 공급

삼성디스플레이는 저전력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를 스마트폰 업체인 오포와 원플러스에 공급했다고 23일 밝혔다. 공급된 OLED는 어댑티브 프리퀀시(Adaptive Frequency)로 불리는 가변 주사율 기술이...

www.etnews.com

 

 

 

 

https://namu.wiki/w/LTPO%20%EB%94%94%EC%8A%A4%ED%94%8C%EB%A0%88%EC%9D%B4

 

LTPO 디스플레이 - 나무위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

namu.wiki

LTPO 디스플레이 - 나무위키

Apple 의 LTPO 특허 (2014년) 1 . 개요 2 . 특성 3 . 역사 3.1 . 2014년 3.2 . 2018년 3.3 . 2019년 3.4 . 2020년 4 . 관련문서 1. 개요 [편집] LTPO (저온 다결정실리콘 산화물, L ow- T emperature P olycrystalline O xide)는 Apple 이 개발한 TFT 디스플레이의 공정기술 이다. LTPS TFT 공정과 Oxide TFT 공정의 단점을 상호보완하여 결합한 기술이다. OLED 와 LCD 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지만, 높은 기술 구현 난이도와 ...

namu.wiki

 

  • 0열 선택0열 다음에 열 추가
  • 0행 선택0행 다음에 행 추가
  • 1행 선택1행 다음에 행 추가

셀 전체 선택

열 너비 조절

행 높이 조절

존재하지 않는 이미지입니다.

Apple의 LTPO 특허(2014년)

  • 셀 병합
  • 행 분할
  • 열 분할
  • 너비 맞춤
  • 삭제

 

 

 

1. 개요

2. 특성

3. 역사

3.1. 2014년

3.2. 2018년

3.3. 2019년

3.4. 2020년

4. 관련문서

 

1. 개요[편집]


LTPO(저온 다결정실리콘 산화물, Low-Temperature Polycrystalline Oxide)는 Apple이 개발한 TFT 디스플레이의 공정기술이다. LTPS TFT공정과 Oxide TFT공정의 단점을 상호보완하여 결합한 기술이다. OLED LCD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지만, 높은 기술 구현 난이도와 낮은 수율 문제 때문에 주로 고가의 OLED에 차용된다.

2. 특성[편집]


  • 0열 선택0열 다음에 열 추가
  • 0행 선택0행 다음에 행 추가
  • 1행 선택1행 다음에 행 추가

셀 전체 선택

열 너비 조절

행 높이 조절

존재하지 않는 이미지입니다.

LTPO 디스플레이가 최초로 상용화된 Apple Watch의 기술 설명[1]

  • 셀 병합
  • 행 분할
  • 열 분할
  • 너비 맞춤
  • 삭제

 

가장 큰 장점은 구동전력의 감소이다.

 

LTPS(저온 다결정실리콘, Low-Temperature Polycrystalline Silicon) TFT공정에서 하나의 트랜지스터를 Oxide(산화물)로 변경하여, 전자이동도는 낮지만 누설전류가 없도록 이중설계한 디스플레이다.

 

Polycrystalline(다결정실리콘)의 경우 휘도의 감소와 플리커링을 막기 위해 1초에 60번씩 계속해서 신호를 보내야 하는 데 반해, Oxide(산화물)의 경우는 정지픽셀에서 1초에 한 번만 신호를 줘도 되기 때문에 누설되는 전류를 줄일 수 있다. 특히 반응속도가 빠르고 120Hz 등 고속 화면 주사율을 적용하는데 구동전력이 절약되는 장점이 있다.

3. 역사[편집]


3.1. 2014년[편집]


Apple, 반도체 산화물 및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를 사용한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미국 특허 출원[2]

3.2. 2018년[편집]


Apple, 하이브리드 TFT프로세스 흐름에 있어서 반도체산화물 채널을 보호하는 방법, 미국 특허 출원

 

2018년 9월 13일, Apple의 9월 스페셜 이벤트에서 LTPO 디스플레이가 세계 최초로 상용화된 모델인 Apple Watch Series 4가 발표되었다.

3.3. 2019년[편집]


  • 0열 선택0열 다음에 열 추가
  • 0행 선택0행 다음에 행 추가
  • 1행 선택1행 다음에 행 추가

셀 전체 선택

열 너비 조절

행 높이 조절

존재하지 않는 이미지입니다.

2019년 디스플레이 어워드에서 수상한 Apple Watch Series 4

  • 셀 병합
  • 행 분할
  • 열 분할
  • 너비 맞춤
  • 삭제

 

2019년 5월, 2019년 올해의 디스플레이 어워드에서 2018년 발표된 Apple Apple Watch Series 4에 적용된 LTPO 디스플레이가 수상하였다.[3]

 

2019년 8월, 삼성전자의 제품 중 LTPO 디스플레이가 최초 적용된 갤럭시 워치 액티브2가 공개되었다.

 

2019년 9월 11일, Apple의 9월 스페셜 이벤트에서 LTPO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Apple Watch Series 5가 발표되었다.

3.4. 2020년[편집]


2020년 8월에 공개된 삼성전자 갤럭시 노트20 Ultra 갤럭시 Z 폴드2에 스마트폰 최초로 LTPO 디스플레이가 적용되었다.

 

2020년 9월 15일, Apple의 9월 스페셜 이벤트에서 LTPO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Apple Watch Series 6 Apple Watch SE가 발표되었다.

4. 관련문서[편집]


· HOP - Apple의 원천특허를 우회한 기술로 현재 개발중

 


[1] LTPO 디스플레이 기술의 핵심인 구동전력의 감소를 잘 설명하고 있다.

[2] U.S. Patent No. 249,716(2014)

[3] 2019 디스플레이 어워드 / 관련기사

 

 

 

ko.wikipedia.org/wiki/%EB%B0%95%EB%A7%89_%ED%8A%B8%EB%9E%9C%EC%A7%80%EC%8A%A4%ED%84%B0

 

박막 트랜지스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박막 트랜지스터(薄膜-, Thin Film Transistor, TFT, 문화어: 박막3극속자액정현시장치, 얇은막3극소자표시장치)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 FET)의 한 종

ko.wikipedia.org

 

 

TFT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박막 트랜지스터(Thin-film transistor)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film-transistor liquid-crystal display, TFT LCD)

AMOLED

 

박막 트랜지스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박막 트랜지스터(薄膜-, Thin Film Transistor, TFT, 문화어: 박막3극속자액정현시장치, 얇은막3극소자표시장치)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 FET)의 한 종류[1] 박막(Thin Film)의 형태로 되어 있다. 기본적으로 삼 단자 소자(백 게이트(B)가 존재하지 않음)로 되어 있다. 주로 액정 디스플레이에 응용되고 있다. 반도체 활성층으로 CdSe를 사용한 TFT는 고체 촬상 소자용 1949년에 발표되었으며, 1973년에 액정 디스플레이(LCD)를 구동하는 예가 발표되었다. 반도체에서 Si를 이용하는 것은 아모퍼스막과 다결정막이 있으며, 아모퍼스막은 1979년에 영국 댄디대학에서 개발되었고 이후에는 일본을 중심으로 액정 디스플레이 용도로 활발하게 연구 개발이 진행되었다. 아모퍼스 Si와 다결정 Si의 TFT는 컬러 TFT-LCD에서 넓게 응용되게 되었다. 특징을 한번 알아보자.

특징에 의한 분류[편집]


게이트 단자의 배치 위치에 의하여 크게 4가지 종류 형태가 있으며 스태거드(staggered)형, 인버티드 스태거드(inverted staggered)형, 코우플레이너(coplanar)형, 인버티드 코우플레이너(inverted coplanar)형으로 불린다.

인버티드형은 게이트 단자가 서브 스트레이트 부분에 붙어 있고, 스태거드형은 채널층과 어긋난 축으로 드레인 및 소스 단자가 추가되어 있으며, 코우플레이너형은 채널층 옆에 직접 붙일 수 있는 형태로 드레인 및 소스 단자를 붙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일반적인 MOS와 다르게 반전층(inversion layer)을 형성하지 않고 축적층(accumulation layer)을 형성하여 컨덕턴스를 구성하므로, n형의 캐리어는 전자 p형의 캐리어는 홀이라는 것도 특징이다. 아래의 소자 구성을 보면 분명하게 알 수 있듯이 일반적인 MOS 구조에서 볼 수 없는 채널층이 더해져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의 박막이라는 용어는 트랜지스터를 구성하는 반도체층이나 게이트 절연막, 전극, 보호 절연막들이 진공 증착이나 스퍼터링, 플라즈마를 이용한 화학 증착법(플라즈마 CVD)으로 유리나 석영같은 기판위에 얇은 막을 형성하여서 유래되었다. 그리고 기판으로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연구 개발도 하고 있다.

반전층을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스레시홀드(문턱 전압)의 의미가 MOS와 다르며, (MOS에서는 스레시홀드 전압은 강반전층을 형성하기 시작하는 게이트-소스 전압을 가리키지만 박막 트랜지스터에서는 반전층 형성 자체가 존재하지 않음) 기본적인 공식이나 개념은 MOS와 동일해서 그대로 개념을 응용할 수 있다. (다만 백 게이트 단자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기판 바이어스 효과에 의한 문턱 전압의 변경을 할 수 없음)

종류와 특징[편집]


  • 0열 선택0열 다음에 열 추가
  • 0행 선택0행 다음에 행 추가

셀 전체 선택

열 너비 조절

행 높이 조절

 

절연층에 SiO2를 이용한 박막 트랜지스터 (인버티드 스태거드형)

  • 셀 병합
  • 행 분할
  • 열 분할
  • 너비 맞춤
  • 삭제
  • 0열 선택0열 다음에 열 추가
  • 0행 선택0행 다음에 행 추가

셀 전체 선택

열 너비 조절

행 높이 조절

 

절연층에 질화막을 이용한 박막 트랜지스터 (인버티드 스태거드형)

  • 셀 병합
  • 행 분할
  • 열 분할
  • 너비 맞춤
  • 삭제

현재 채널층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은 수소화 아모퍼스 실리콘(a-Si:H: hydrogenated amorphous silicon)이지만 스레시홀드 전압이 시간, 게이트 전압, 온도에 의해서 불안정하게 변하는 문제가 있다.

이것은 퇴적된 전자에 따른 영향으로 3가지로 구분한다.

밴드 갭 내부에 존재하는 준안정 상태(metastable state): 기본적으로 게이트 인가 전압이 낮은 경우 주된 요인

절연층 내부: 전압이 낮은 경우

경계 상태(interface state): 일반적으로 무시한다.

일부 제조사에서는 일정시간 전압과 가열을 해서 게이트 인가 전압에 의하여 여기되어서(기존값으로 복귀돼서) 불안정한 valence band connection를 dangling bond (defect)으로 안정되는 대책을 세우고 있다.

그 밖에 유기물[2]이나 무기물 소재를 이용한 박막 트랜지스터나 투명박막 트랜지스터(Transparent Thin Film Transistor)의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출처[편집]


 “박막 트랜지스터”. 2020년 5월 13일에 확인함.

 “박막트랜지스터”. 2020년 5월 13일에 확인함.

 

 

 

#주식공부 #아이폰 #ltpo #tft

 

반응형